이 책의 독자는 이 책의 목적이 두뇌가 코드를 처리하는 방식에 대한 이해를 돕는 것이기 때문에, 프로그래밍 관련 직종에 종사하시는 어떠한 분이든 이 책을 읽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책의 목차를 보면 프로그래밍을 하다가 생기는 인지 과정과 그 한계에 대해서 알려주고, 한계 넘어 효과적으로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주고 있습니다. 최근에 많은 프로그래밍 책을 읽었는데, 읽은 책 중에서 가장 신선하게 다가왔습니다. 약간 김창준님의 함께자라기와 비슷한 느낌을 주는 책이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책에서 제공해주는 내용이 너무 방대해서 밑줄 치면서 책을 읽어야 그나마 머릿속에 저장되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책의 모든 내용을 정리할 순 없지만, 리마인드 할 겸 밑줄 친 내용들을 간략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읽은 부분까지만)
책 초반에는 우리가 프로그래밍을 잘하지 못하는 이유는 지식이 부족하거나, 정보가 부족하거나, 처리 능력이 부족함 때문임을 알려주고 LTM(Long-term memory), STM(Short-term-memory), 작업 기억 공간(working momory)의 영역이 존재한다. 체스 말을 복기하는 방식에 대한 일반인들과 전문가 그룹의 차이, 청킹 연습, 플래시카드를 사용한 문법 기억, 복잡한 코드를 읽는 방법, 리팩토링..
이 책은 두뇌가 프로그래밍을 어떻게 처리하는지 알려주고 있습니다. 초반 부분을 읽을 때 느낀 것은 처리 방식을 안다고 해서 프로그래밍을 더 잘해지는 건 아닐 것 같고, 이 책에서 알려주는 방법들이 실제 업무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까 하는 의구심이 들긴 했습니다. 하지만 코딩을 정말로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내 뇌에서 일어 나는 일들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가장 인상적인 부분이 있었는데 리팩토링은 무조건 좋은 것이 아니라는 구절이 이었습니다. "코드가 전체적으로 유지 보수하기 좋게 수정됐다고 해서 그게 가독성까지 반드시 좋아지는 것은 아니다. 탈국지화된 코드는 여러 군데에서 메서드의 내부 구현을 찾아봐야 하기 때문에 작업 기억 공간에는 어려움을 줄 수 있다. 유지 보수하기 좋은 코드를 작성하기보다는 장기적으로 가독성이 높은 코드를 작성하도록 리팩터링하는 것이 좋을 수도 있다."
1. 내가 읽기 좋은 코드
2. 내 동료들이 읽기 좋은 코드
3. 유지보수하기 좋은 코드
사이에서 trade-off를 잘 따져가면서 코딩하자.!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85967039
'서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평] AWS로 시작하는 인프라 구축의 정석 (0) | 2022.06.20 |
---|---|
[서평] 쏙쏙 들어오는 함수형 코딩 (1) | 2022.05.02 |
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 (0) | 2021.07.31 |
나는 LINE 개발자입니다. (0) | 2021.03.28 |
행복한 프로그래밍 (0) | 2020.04.19 |